본문 바로가기
알아보아요.

고려 왕조의 왕위 계승과 정치적 변혁

by heimish_ddd 2022. 10. 26.

1. 왕건과 왕무의 통일과 왕위 계승

고려의 초대 왕 왕건은 한반도의 통일을 위해 큰 역할을 했으며, 왕건의 살아생전 맏아들 왕무는 그와 함께 통일의 과업을 실현했다. 왕건이 죽고, 왕무는 왕위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왕무는 "돗자리 임금님"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는데, 이는 왕무가 왕건의 둘째 부인 장화왕후 오 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왕건은 궁예 밑에서 활동하던 시절, 금성 군을 공격하면서 후백제와의 전투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왕건은 장화왕후 오 씨와 만났고, 두 사람은 나주에서 처음 만난 뒤, 그날 밤 동침을 하게 되었다. 이때 태어난 왕무는 나중에 '돗자리 임금님'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왕무는 어린 시절부터 전쟁을 주도하며 무공을 쌓았다. 그가 24세가 되던 해, 신라가 항복하고, 그 다음 해에는 후백제와의 마지막 전투인 일천 리 전투에 선봉으로 출전하였다. 전투에서의 활약을 통해 왕무는 국왕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지만, 그의 즉위는 순탄치 않았다. 왕건은 왕위 계승을 두고 정략적 결혼을 통해 왕실의 권력을 지키려고 했으나, 왕건의 사후 왕실 내에서 권력 다툼이 발생했다. 왕무의 동생 왕요는 왕위 계승을 두고 왕규와 전쟁을 벌였고, 결국 왕무의 동생 왕요가 왕위에 오르게 된다.

2. 광종의 왕권 강화와 개혁

광종은 고려 제4대 왕으로 즉위한 후, 왕권 강화를 위해 여러 개혁을 단행했다. 광종은 스스로 황제라 칭하고, "칭제건원"이라 연호를 사용하면서 독립적인 황제국 체제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호족들의 반발을 일으켰고, 왕권 강화는 쉽지 않았다. 광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노비안검법"을 시행했는데, 이는 호족들이 억울하게 노비로 끌려간 양민을 해방시키는 제도였다. 이를 통해 군사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던 호족의 노비를 양민으로 만들고, 양민이 된 사람들은 세금을 납부하게 되어 재정도 증가했다.

광종은 또한 과거제를 도입하여 관리들이 능력에 따라 선발되도록 했고, 이를 통해 중앙집권적 체제를 더욱 공고히 했다. 그는 또한 관료들의 복색을 관등에 따라 구분하고, 관리들의 복장을 통제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하려 했다. 그러나 이러한 강력한 정책은 호족들의 반발을 샀고, 광종은 정치적인 긴장 속에서 공포 정치를 벌였다. 광종은 호족들의 반란을 막기 위해 역모와 암살 위협에도 대응했다. 그의 통치가 끝난 후, 그의 아들 경종이 즉위하지만, 경종은 병으로 일찍 사망했다.

3. 성종의 유교 정치와 안정

경종이 죽고, 왕위는 성종에게 넘어갔다. 성종은 왕위에 오르자마자 유학자들의 지원을 받으며 유교를 정치 이념으로 삼았다. 성종은 유교를 통해 왕권을 정당화하고, 중앙집권적 통치를 강화하려 했다. 이를 위해 성종은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유교적 정책을 추진하였다. 시무 28조에는 지방의 호족들이 백성을 괴롭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리 파견과, 불교보다는 유교가 국가를 다스리는 데 더 중요하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성종은 또한 2성 6부제를 정비하고, 지방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12목에 지방관을 파견했다. 유교 교육기관인 국자감을 정비하며 유교적 이념을 바탕으로 국가의 권위를 세우려 했다. 그러나 성종은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자신의 왕위를 위협하는 여러 사건을 겪었다. 그의 누이인 천추태후는 왕욱과의 불륜 사건에 연루되었고, 이에 따라 왕욱은 유배되었다. 또한 성종은 거란의 침입을 겪으면서, 위기를 기회로 삼아 강동 6주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성종은 결국 38세의 젊은 나이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고려는 그의 후계자 왕송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결론

고려의 왕조는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과 왕권 강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거쳐 발전해왔다. 왕건과 왕무는 통일을 이뤘으나, 왕실 내 권력 다툼과 내부적인 갈등은 끊이지 않았다. 광종은 왕권 강화를 위해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도를 도입했으며, 성종은 유교적 체제를 바탕으로 안정된 정치적 기반을 마련했다. 고려는 외부의 위협 속에서도 내적인 개혁을 통해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점차 강력한 중앙집권적 왕국으로 성장해 갔다.